본문 바로가기

공부독서

교수 및 학습 방법 정리 3 : 토의법

토의법

1. 토의법의 개념

토의법이란 학습자와 학습자, 혹은 교사와 학습자가 주제와 관련하여 정보와 의견을 교환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교수방법을 의미한다.

2. 토의법의 특징

교사의 능동적인 태도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 및 창의력이 요구되며, 다양한 정보와 의견의 교환을 통해 학습내용을 내면화할 수 있다.

3. 토의법의 장점

토의법은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에 기반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흥미와 동기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이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도록 함으로써 창의력 및 사고력 등의 고등정신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으며, 의견 존중 및 배려 등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4. 토의법의 단점

토의 수업에 있어 교사의 철저한 준비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학생들의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교사는 토의 수업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학생들이 학습 주제와 관련하여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을 경우 토의 수업의 효과는 미미할 수 있으며, 소극적인 학생들이 발언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5. 효과적인 토의 수업을 위한 과정

1) 토의 전 철저한 사전 준비를 해야 한다. 교사는 토의주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학습자들이 충분히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하며, 토의와 관련된 목적, 방식, 시간, 규칙 등을 학습자들에게 전달해야 한다. 특히, 모든 학습자들이 토의에 동등하게 임할 수 있도록 발언의 기회를 동등하게 부여해야 한다.
2) 토의 수업 전 좌석 배치 등에 대한 학생들의 혼란을 막기 위해 토의 장소를 별도로 마련하거나 교사가 미리 교실로 이동하여 토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3) 토의 진행 중에는 토의 주제, 목적, 규칙 등을 확실하게 제시해야 하며,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그리고 일부 학생에 의해 토의가 장악되지 않도록 중재하는 역할 또한 수행해야 한다.
4) 토의가 끝난 후에는 토의 내용에 대해 종합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그리고 해당 과정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다.

6. 토의의 종류

1)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은 한 가지 주제에 대하여 떠오르는 내용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브레인스토밍은 교사들이 수업 초반에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자극하고자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며, 이것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발산적 사고를 촉진시킬 수 있다. 다만, 브레인스토밍이 장난식으로 운영될 경우 아이디어의 질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2) 하브루타

하브루타는 일반적으로 2명의 학생들이 짝을 지어 한 가지 주제에 대하여 서로 토론 논쟁을 벌이는 방식을 의미한다. 해당 방식은 학생들이 의견을 표현하면서 비판하도록 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인지능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3) 심포지움(단상토의)

심포지움은 2명 이상의 전문가가 주제와 관련하여 전문 내용과 의견을 제시한 후 전문가들끼리 혹은 전문가와 청중들이 서로 토론을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청중들과 진행할 때에는 QNA형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4) 포럼

포럼은 1명 혹은 2-3명의 전문가가 일정 시간 동안 주제와 관련하여 연설을 한 후 청중을 포함한 구성원들과 토의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전체 구성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지만, 분위기가 다소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

5) 배심회의

상반된 견해의 배심원들이 청중을 앞에 두고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 찬반 논쟁을 벌이는 방식을 의미한다.

6)원탁회의

원탁회의는 가장 민주적으로 진행되는 토의방식으로써 구성원들이 원탁에 둘러앉아 의견을 교환하는 토의 방식을 의미한다.

7) 버즈토의

버즈토의의 경우 내가 전공 수업에서 직접 활동해본 토의 방식 중 하나이기도 한데, 3명 혹은 6명 정도의 학생들이 서로 둘러앉아 토의를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버즈라는 말은 벌의 윙윙거리는 소리처럼 토의자들이 적극적으로 토의에 참여하는 과정을 비유하여 표현된 말이며, 해당 방식은 소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누구나 주체가 되어 토의에 참여할 수 있다. 다만, 토론의 방향이 모둠마다 잘못 흘러갈 수 있다는 문제가 있어서 교사는 중간에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